본문 바로가기
생활이모저모

상속세 전면 개편! ‘유산취득세’ 도입으로 세 부담 낮춘다

by mindverse 2025. 5. 21.
728x90
반응형

 

정부가 무려 75년 만에 상속세 체계를 전면 개편합니다.
기존 ‘유산세’ 방식에서 벗어나 ‘유산취득세’ 체계를 도입하며, 상속세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인데요.
특히 자녀가 많은 가정일수록 그 효과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기존 제도와 개정안의 차이
  • 달라지는 공제 구조
  • 실제 계산 예시
  • 예상되는 효과와 논점
    까지 하나하나 풀어드릴게요.

 

기존 상속세는 어떤 방식이었나?

 

지금까지 한국의 상속세는 **‘유산세 방식’**이었습니다.
즉, 고인이 남긴 전체 상속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고, 이를 상속인들이 나눠 내는 구조였죠.

이 방식에서는 전체 유산에서

  • 기초공제 2억 원
  • 일괄공제 5억 원
  • 배우자 공제 등 일부 항목을 차감한 뒤
    그 나머지를 고율의 누진세율(최대 50%)로 과세했습니다.

이 구조는

  • 자녀 수가 많아도 공제는 고정
  • 실제로 유산을 많이 받지 못해도 세 부담은 여전
    한계가 컸습니다.

 

유산취득세, 무엇이 다른가?

 

 

이번 개편안의 핵심은
**‘받은 사람 중심’**의 과세 방식으로 바뀐다는 점입니다.

이제는 전체 상속재산이 아니라
각 상속인이 실제로 받은 금액에 대해 개별 과세됩니다.
즉, 자녀가 많을수록 공제 혜택이 늘어나고,
개인 단위의 공제 적용으로 세 부담이 대폭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배우자: 최대 10억 원까지 공제
  • 자녀: 1인당 5억 원까지 공제
  • 그 외 가족: 일정 기준에 따른 공제

공제 방식이 ‘사람 수 기준’으로 바뀌니,
가족 수가 많을수록 세금을 덜 내게 되는 셈입니다.

 

 

실제 예시로 비교해 보자

 

  1. 상속재산 20억 원, 배우자 + 자녀 2명 상속 시

현행 제도:

  • 총 공제: 일괄공제 5억 + 배우자 공제 등 포함 13억5700만 원
  • 과세표준: 약 6억4300만 원
  • 상속세: 약 1억3290만 원

개정안 적용 시:

  • 배우자: 10억 공제로 과세액 0원
  • 자녀: 각 5억씩 공제로 과세액 0원
  • 총 상속세: 0원
  1. 상속재산 30억 원, 배우자 + 자녀 2명 상속 시

현행 제도:

  • 일괄공제 및 배우자 공제 등 총 15억 공제
  • 과세표준: 15억 원
  • 상속세: 약 4억4000만 원

개정안 적용 시:

  • 배우자: 10억 전액 공제 → 과세액 없음
  • 자녀: 각 10억 상속 중 5억 공제 → 5억씩 과세
  • 자녀당 상속세: 약 9000만 원
  • 총 상속세: 1억8000만 원

무려 절반 이상 세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번 개편의 주요 포인트

 

 

  1. 개인 단위 공제 확대
    • 배우자: 최대 10억 원 공제
    • 자녀: 1인당 5억 원 공제
  2. 다자녀 가정 유리
    • 기존에는 자녀 수와 상관없이 공제는 고정
    • 이제는 자녀 수가 많을수록 총 공제액 증가
  3. 세율 구조는 유지
    • 세율 자체는 그대로지만, 과세표준이 줄어들어 실질적 세부담이 감소
  4. 상속인 기준으로 과세
    • ‘받은 만큼 과세’되므로 보다 공정하고 명확한 체계 가능

 

 

왜 지금, 이런 개편이 나왔을까?

 

 

정부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 고령화 사회에서 상속세 부담 완화
  • 자녀 양육과 가족 구성에 대한 보상
  • 세금의 형평성과 수용성 제고
    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고소득층과 고자산가에게
무조건적으로 부담이 집중되던 문제도 일정 부분 완화됩니다.

 

 

예상되는 효과와 남은 과제는?

 

 

이번 개편이 시행되면

  • 중산층 이상의 가구는 상당한 세금 절감 효과
  • 다자녀 가정은 세금 없는 상속도 가능
  • 상속 재산이 분산되는 효과도 기대됨

하지만,

  • 고자산가들이 절세 수단으로 악용할 가능성
  • 오히려 부의 세습을 조장한다는 비판
  • 유산취득세 방식에서도 세율 구조가 여전히 고율이라는 점

등의 논의도 함께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정리하며

 

 

이번 상속세 개편은 단순한 숫자 조정이 아니라,
세금의 구조 자체를 바꾸는 획기적인 전환점입니다.

유산세 방식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의 변화는

  • 공정성과 수용성을 높이고
  • 다자녀 가정의 부담을 줄이며
  • 현실에 맞는 과세 구조로 나아가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국회 논의와 시행령 마련 과정에서
보다 정교하고 공정한 적용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해 봅니다.

 

 

 

MBTI별 말 예쁘게 하는 순위 -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고 하잖아요?

"그 말을 꼭 그렇게 해야 돼?"한 번쯤은 누군가의 말투에 상처받거나, 반대로 말 한마디에 감동받은 적 있으시죠?MBTI 유형별로도 말투와 표현 방식, 감정전달의 결이 다르다는 사실! 오늘은 MBTI 16

mindverse.tistory.com

 

 

연임제? 중임제? 이재명 vs 김문수의 개헌안, 무엇이 다를까?

연임제? 중임제? 이재명 vs 김문수의 개헌안, 무엇이 다를까?2025년 5월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나란히 대통령 임기 조정 개헌안을 발표했습니다.현

mindverse.tistory.com

 

 

윤석열 전 대통령, '부정선거 다큐' 관람… 다시 불붙는 의혹?

2025년 5월 21일, 서울 중구 메가박스 동대문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관람한 영화는 다큐멘터리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였습니다.이날 윤 전 대통령은 별도의 언론 브리핑이나 무대 인사 없

mindverse.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