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탄핵 후 ‘세종 이전론’ 급부상에… 세종 부동산도 ‘꿈틀’
mindverse
2025. 4. 7. 18:58
728x90
반응형
출처: 한국경제신문
2025년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청와대는 돌아가기 어렵고, 용산도 탄핵 정부가 사용하던 공간이라는 점에서 ‘세종’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건데요.
이에 따라 침체됐던 세종 부동산 시장도 다시 꿈틀대는 모습입니다.
왜 다시 '세종'인가?
- 청와대 복귀는 상징성 논란,
- 용산은 탄핵 정권의 공간,
- 그렇다면 ‘행정수도’ 세종이 유력하다는 분석.
수도권 과밀 문제와 충청권 민심까지 고려하면, 차기 정권에서 ‘세종 시대’가 열릴 가능성이 꽤 높은 상황이에요.
부동산 시장도 반응 중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 3월 세종 아파트 매매 거래량: 684건
→ 작년 동기 대비 77.2% 급증 (작년 386건) - 1개월 매물 감소율: 전국 1위 (-6.5%)
- 서울 감소율: -1.7%
게다가 ‘나릿재마을2단지 리더스포레’는 전용 84㎡가 11억8500만원에 신고가 거래되기도 했어요. 불과 한 달 전엔 8~9억 수준이었죠. 세종 부동산, 확실히 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정치권 분위기는?
야권의 잠재 대선주자들 역시 ‘세종 이전’에 무게를 두고 있어요.
- 이재명 대표:
“세종 집무실 설치, 신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검토” -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지사:
행정수도 이전 강력 지지 - 이준석 의원:
“세종을 국민통합의 중심으로 만들자” - 한동훈 전 대표:
“국회 세종 완전 이전” 약속
각 당을 막론하고, 세종 이전을 차기 정권의 키워드로 삼는 흐름이 강하게 잡히고 있습니다.
현실화되려면?
장벽은 여전히 ‘헌재의 위헌 판단’입니다.
2004년 신행정수도법이 위헌 결정된 이후,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을 바꾸기 위해선 결국 개헌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그러나 사회 분위기나 수도권 집중에 대한 불만이 커진 지금, 이전보다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도 있어요.
한줄 요약
탄핵 이후 대통령실, 어디로 가나? 정답은 ‘세종’이 될 수 있다.
한줄 평
정치적 상징성과 실리, 부동산까지 움직이는 ‘세종 이전론’… 진짜 움직일까?
728x90
반응형